728x90 반응형 란스의상식17 신고, 고소, 고발의 차이는 신고, 고소 및 고발같은 행위는 일반인의 경우 행위 당사자가 되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으나 우리가 일상 생활 속에서 많이 접하고 친구들끼리 농담식으로라도 위 용어들을 가끔씩은 사용합니다.특히 정치권에서는 고소•고발이 난무하여 언론을 통해 하루가 멀다하고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누가 누구를 고소했다거나 고발했다거나 하는 언론보도를 자주 보셨을텐데, 고소와 고발을 분명하게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어 정확한 뜻과 차이점을 정리해봤습니다. 먼저 신고는 일정한 사실을 수사기관에 알리는 행위로서 신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제한이 없으며 처벌 의사를 표하지 않으며 누구나 신고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를 목격하거나 취객이 길바닥에 쓰러져 있는 경우에 그 수습 등을 경찰에 알리는 행위가 신고입니다. 고소는 범죄.. 2025. 5. 8. 국정조사와 국정감사의 차이는 정치에 관심있는 분들은 국정조사와 국정감사에 대해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두가지 모두 헌법이 보장(헌법 제61조)하는 국회의 고유권한으로 국회가 정부를 감시 및 통제하기 위한 방법이지만 목적, 대상 및 시기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제61조 ①국회는 국정을 감사하거나 특정한 국정사안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서류의 제출 또는 증인의 출석과 증언이나 의견의 진술을 요구할 수 있다.②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절차 기타 필요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위와 같이 헌법에서 국정감사와 국정조사에 대해 보장하고 있으며, 관련 법은 국정감사 및 조사에 관한 법률(이하 국감국조법)로 제2조와 제3조에서 각각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제2조(국정감사) ① 국회는 국정전반에 관하여 소관 상임위원회별로 .. 2025. 5. 8. 출자와 출연의 차이 출자기관과 출연기관이란 용어를 접해보셨텐데, 비슷한 것 같지만 차이가 있습니다.출자와 출연은 모두 어떤 목적을 위해 자금을 제공하는 행위입니다. 하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법적으로 차이가 있어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셔야 합니다.먼저 출자는 회사나 조합 등에 자본을 투자하는 행위이며 투자한 사람을 출자자라 하고, 출자자는 그에 따른 지분(보통 주식)을 받고, 의결권이나 배당 등의 권리를 가집니다.반면 출연은 공공 목적이나 비영리 목적의 단체나 기관에 자산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행위로 반대급부 없이 제공되고, 지분이나 권리는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5. 5. 2. 국가기관, 정부기관, 공공기관의 뜻과 차이점 소프트웨어진흥법 제28조(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사업 참여 지원)에서 국가기관등의 장은 해당 조항과 관련된 사항을 따라야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제48조(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사업 참여 지원) ① 정부는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 육성을 통한 소프트웨어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하여 국가기관등이 발주하는 소프트웨어사업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하여야 한다.② 국가기관등의 장은 소프트웨어사업 발주 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업금액 미만의 사업에 대해서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기업(이하 이 조에서 “대기업”이라 한다)인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참여(대기업인 소프트웨어사업자가 하수급인 및 재하수급인으로 참여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2025. 5. 1.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과 노이즈마케팅(Noise Marketing)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과 노이즈마케팅(Noise Marketing)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바이럴마케팅이 입소문을 통해 컨텐츠나 제품이 사람들에게 빠르게 인식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라면, 노이즈마케팅은 일부러 이슈나 논란을 만들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자면, 바이럴마케팅은 긍정과 재미, 감동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공유되고 확산되는 것은 추구한다면, 노이즈마케팅은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되도록 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고 볼 수 있습니다.사용된 단어(virus, noise)만 놓고 보면 두가지 방법 모두 부정적인 방식같은데 전자는 긍정, 후자는 부정에 가깝습니다.바이럴마케팅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는 KCC건설의.. 2025. 4. 21. Loyalty와 Royalty 철자와 발음도 비슷하고, 한끚 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쓰임새는 다릅니다.회사에 대한 로얄티가 높아야 한다.회사가 로얄티를 지급해야 한다.전부 다 로얄티인데 사용하는 단어는 Loyalty와 Royalty 입니다.Loyalty는 속한 조직이나 국가 또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믿음과 지지 또는 충성심을 의미하고,Royalty는 왕족, 저작권료와 같은 의미입니다.저도 많이 헷갈렸는데 이제 그만 헷갈리고 싶어서 포스팅합니다. 2025. 4. 17.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