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0 2025년 새롭게 고시된 대기업참여제한 예외인정 사업(2025년 3월 현재) 상출제기업은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사업 참여 지원에 관한 지침]의 [별표 3, 4, 6]에 고시된 사업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보통 과기부가 주관하는 예외인정 심의는 매월 개최되지만, 고시는 심의결과가 나오고 한참 후에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에도 2024년 9월에 마지막으로 고시된 이후 약 6개월만에 고시가 되었습니다. 2025년 3월 27일자로 총 35건의 사업이 대기업참여제한 예외인정 사업으로 고시되었으며, 총 사업비는 약 1.07조원입니다. 국가안보가 28건(약 1.01조), 혁신성장동력 13대 분야(신산업)가 7건(약 588억)이고 민간투자협 사업은 없으며, 부분인정이 2건 포함되어 있습니다.이번에 고시된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분야 세부분야 기관명 사업명.. 2025. 4. 10. [2025년4월10일]합법, 불법 그리고 편법 설마?아직도?머리를 상하구분용으로 달고 다니지 않는 이상 말도 안 된다고 보는데...저 사람들이 살아왔던 과정을 보고,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을 하면 타당한 추론이란 생각도 든다.원링스팸? 이것들이 장난하나...너희들 한 번만 걸려라!근거지 파악해서 다 소탕해 버릴 테니까!쓰레기들!맨땅을 걷는 것과 트레드밀을 걷는 건 하늘과 땅 차이다.오랜만에 길을 많이 걸었더니 너무 힘드네...ㅋㅋ원칙은 중요하다.원칙을 알아야 변칙도 쓸 수 있는데,변칙만 쓰면 그게 원칙인 줄 안다.하루이틀이 아니다.운동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될 만큼 많이 걸었다.그럼 운동을 쉬어야 할까?누가 보면 태릉선수촌에 있는 줄 알겠어!들여다본다고 다 분석이 아니다.여러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분류할 줄 알아야 하고, 경험과 기술이 있.. 2025. 4. 10. [2025년4월9일]경계 보통 때 같으면 해가 올라오기도 전에 눈이 떠졌는데, 오늘은 밀려 들어오는 빛에 눈이 떠졌다.잘 잔 건가?!잠이 부족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두통도 사라진 걸 보면, 어제도 잠이 부족했던 듯...기분 좋게 하루를 시작할 수 있어 좋다.세상에 완벽한 건 없다는 게 다시 증명되는 순간이군.모든 경우의 수를 가정해서 빈틈없이 만들면 너무 경직되니 그럴 수 있다고 보지만 상대방이 협상의 대상이 아니라는 게 문제다!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한 시기다.근래 가장 엉덩이가 무거운 시절이 아닌가 싶다.귀를 닫고 사는 리더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건 현 상황을 보면 쉽게 알 수 있다.그 많은 참모들 중에 위법하다는 걸 아는 자가 단 한 명도 없었을까?평소에 바른말을 하면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알기 때문에 아무 말도 하지 않았거나.. 2025. 4. 9. 2025년 공공SW구축 사업 중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 현황 수요예보를 위한 수요조사 시 사업구분은 SW구축, SW구매 및 HW구매 이렇게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이 중 SW구축사업은 [데이터베이스구축 사업],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 [소프트웨어개발 사업], [시스템운영유지관리 사업],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사업] 이렇게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합니다. 2025년도 수요조사 결과를 보면 SW구축사업 예산(약 4.4조원) 중 1,415억원(3.2%)이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입니다.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이란 소프트웨어개발 전후 개발환경과 실행환경 등을 구성하기 위한 인프라(HW 및 상용SW)를 도입하여 구성하는 사업입니다.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의 예산 규모는 연도별로 편차가 아주 큰 편으로 2012년 이후 최소 .. 2025. 4. 8. 2025년 공공SW구축 사업 중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 현황 수요예보를 위한 수요조사 시 사업구분은 SW구축, SW구매 및 HW구매 이렇게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고,이 중 SW구축사업은 [데이터베이스구축 사업],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 [소프트웨어개발 사업], [시스템운영유지관리 사업], [시스템운용환경구축 사업],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사업] 이렇게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합니다. 2025년도 수요조사 결과를 보면 SW구축사업 예산(약 4.4조원) 중 216억원(0.5%)이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입니다.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이란 e러닝 콘텐츠,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콘텐츠 등 멀티미디어 콘테츠를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해마다 디지털콘텐츠개발서비스 사업은 규모가 크진 않지만 계속해서 발주가 되고 있는 상황이며, 2012년 이후 .. 2025. 4. 8. 리드(lead)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서 리드(lead)라는 용어를 처음 접하는 분들이 계실겁니다.보통 우리가 알고 있는 lead(이끌다, 앞서다 또는 납)와는 다른 뜻으로 CRM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 단어가 오히려 더 낯설어 보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저 역시 리드를 등록하라는 말에 아주 당혹스러웠던 기억이 있습니다.리드는 잠재고객(potential customer) 또는 가망고객(prospective customer)이라고 하는데, 잠재고객은 기업의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있는 고객을 의미하고, 가망고객은 기업의 제품에 관심을 보인 고객을 의미하니 가망고객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케팅이나 영업프로세스 관점에서 보면 리드를 단순히 고객을 지칭하는 단어로만 .. 2025. 4. 8. 이전 1 2 3 4 ··· 3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