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예보는 한국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및 교육기관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며, 보통 전년도 11월경에 예정분을 발표하고, 당해 3월경에 확정분을 발표합니다.
올해는 시국이 어수선해서 그런지 예정 조사결과와 확정 조사결과 모두 보름정도 지연발표 되었습니다.
실망스러운 점은 2011년 이후 국가정보화예산이 전년도 보다 감소한 경우는 한 번도 없었는데, 2025년은 2024년 대비하여 2,212억원이 감소하였다는 것 입니다.
2025년 수요예보(예정&확정) 원본 파일은 아래 첨부하였으며, 확정분에 요약시트가 빠져있어 요약시트를 추가한 파일도 같이 첨부하였습니다.
구분 | 조사결과 | 비고 | ||||||||
응답기관수(개) | 1,927 | 2024년 수요예보(확정) 대비 304개 기관 ↓ | ||||||||
예산총액(억원) | 61,397 | 2024년 수요예보(확정) 대비 2,212억원 ↓ | ||||||||
사업건수(개) | 15,413 | 2024년 수요예보(확정) 대비 166개 기관 ↓ |
[표] 2025년 수요예보(확정) 요약
기관유형별로는 응답기관(또는 정보화예산 확보기관)은 1,927개이며, 기관유형별로는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지자체는 교육자치단체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843개 기관이라고 집계되니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기관유형 | 기관수 (개) |
예산 (억원) |
사업건수 (개) |
|
국가기관 | 338 | 22,062 | 1,870 | |
공공기관 | 700 | 26,105 | 6,159 | |
지자체 | 849 | 12,678 | 7,094 | |
기타 | 40 | 552 | 290 | |
합계 | 1,927 | 61,397 | 15,413 |
[표] 기관유형별 응답현황 요약
사업유형을 SW구축, SW구매, HW구매로 구분하여 조사하므로 관련 사업자들이 마케팅 및 영업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가능합니다.
기관유형 | SW구축 | SW구매 | HW구매 | 합계 | |
국가기관 | 18,304 | 537 | 3,221 | 22,062 | |
공공기관 | 22,281 | 1,406 | 2,418 | 26,105 | |
지자체 | 6,834 | 1,625 | 4,219 | 12,678 | |
기타 | 425 | 113 | 14 | 552 | |
합계 | 47,843 | 3,681 | 9,873 | 61,397 |
[표] 2025년도 기관유형별 SW구축, SW구매, HW구매 예산(단위 : 억원)
구분 | 예산 (억원) |
사업건수 (개) |
평균사업비 (억원) |
|
SW구축 | 47,843 | 7,981 | 5.99 | |
SW구매 | 3,681 | 4,009 | 0.92 | |
HW구매 | 9,873 | 3,423 | 2.88 | |
합계 | 61,397 | 15,413 | 3.98 |
[표] 사업유형별 예산현황 및 사업건수 등
아래에 첨부드린 파일은 SW산업정보종합시스템(https://www.swit.or.kr/) 에서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란스네나라 > 수요예보(원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수요예보(예정&확정) (0) | 2025.02.05 |
---|---|
'23년 수요예보(예정&확정) (0) | 2025.02.05 |
'22년 수요예보(예정&확정) (0) | 2025.02.05 |
'21년 수요예보(예정&확정) (0) | 2025.02.05 |
'20년 수요예보(예정&확정)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