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스의상식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과 노이즈마케팅(Noise Marketing)

lans 2025. 4. 21. 11:28
728x90
반응형

바이럴마케팅(Viral Marketing)과 노이즈마케팅(Noise Marketing)은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바이럴마케팅이 입소문을 통해 컨텐츠나 제품이 사람들에게 빠르게 인식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라면, 노이즈마케팅은 일부러 이슈나 논란을 만들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구분하자면, 바이럴마케팅은 긍정과 재미, 감동을 통해 사람들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공유되고 확산되는 것은 추구한다면, 노이즈마케팅은 부정적 이미지가 부각되도록 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용된 단어(virus, noise)만 놓고 보면 두가지 방법 모두 부정적인 방식같은데 전자는 긍정, 후자는 부정에 가깝습니다.

[그림] 바이럴마케팅의 실패사례(배달의 민족 고마워요 키트)


바이럴마케팅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는 KCC건설의 문명의 충돌 편이 아닐까 싶습니다. 해당 컨텐츠가 공개된 이후 조회 수 약 3,700만뷰를 달성했습니다.
 

 
노이즈마케팅의 대표적 사례는 과거 삼성전자가 애플과 소송 전을 벌였던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소송이라는 부정적 단어를 통해 삼성이 애플의 지적재산권을 침해했나라는 의구심이 들도록 하여 관심을 끄는데 일차적으로 성공했고, 결국에는 애플과 대립구도를 형성할 수 있는 엄청난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사람들에게 심어주는데 성공했습니다.

728x90
반응형